맨위로가기

롱퍼드 타운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롱퍼드 타운 FC는 1924년 창단된 아일랜드의 축구 클럽으로, 보헤미안 FC의 색상을 차용한 빨강과 검정 유니폼을 사용한다. 1984년 아일랜드 리그에 참가했으며, 2003년 FAI컵 우승, 2004년 FAI컵과 리그 컵 우승을 달성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이후 클럽 라이선스 문제로 강등과 승격을 반복했으며, 2024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했다. 롱퍼드 타운은 FAI컵 2회, 리그 컵 1회, 퍼스트 디비전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UEFA컵에도 여러 차례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구단 -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FC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 FC는 1929년에 창단된 아일랜드의 축구 클럽으로, 리그에서 8번, FAI컵에서 5번, 리그 오브 아일랜드 컵에서 4번 우승했으며,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하고, 브라이언 커와 폴 맥그라스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4년에는 스티븐 케니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 디비전 구단 - 핀 하프스 FC
    핀 하프스 FC는 1950년대 초 주니어 축구 클럽으로 시작하여 1971-72 시즌 더블린 시티 컵, 1974년 FAI컵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현재는 아일랜드 리그에 참가하며 데리 시티 FC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1924년 설립된 축구단 -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FC 토르페도 모스크바는 1924년에 창단되어 소련 시절 리그 우승 3회, 컵 대회 우승 7회를 기록하고 에두아르드 스트렐초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2022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 복귀했으나 한 시즌 만에 강등되었다.
  • 1924년 설립된 축구단 - 라요 바예카노
    라요 바예카노는 1924년 창단된 스페인 마드리드 소재의 축구 클럽으로, 승강 플레이오프 팀으로서의 역사와 UEFA컵 8강 진출이라는 성과, 강력한 팬덤과 사회 참여 활동으로 유명하지만 구단주와의 갈등 및 극우 성향 팬 논란 등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 사선 줄무늬 유니폼과 바예카스 축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롱퍼드 타운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롱퍼드 타운 FC 로고
롱퍼드 타운 FC 로고
공식 명칭Longford Town Football Club
아일랜드어 명칭Cumann Peile Bhaile Longfort
애칭Town
De Town
창단1924년
구장스트록스톤 로드
수용 능력5,097명 (4,977석)
회장Jim Hanley
감독Wayne Groves
리그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현재 시즌2024년
시즌 순위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9위/10위
웹사이트롱퍼드 타운 FC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빨간색
하의: 검은색
양말: 검은색
원정 유니폼상의: 노란색
하의: 남색
양말: 남색

2. 역사

1924년, 템퍼런스 홀에서 열린 회의에서 롱퍼드 타운 FC가 창단되었다.[1] 클럽 색상은 보헤미안스의 '빨강과 검정'으로 결정되었다.[1] 초기 주요 멤버는 마이클 파렐, 패디 파렐, 마이클 헨리, 톰 말론, 조니 폴리, 윌리 자렛, 톰 켈리, 톰 콜버트, 짐 멀리건이었다.[1]

롱퍼드 타운은 1930-31 시즌, 롱퍼드 파크에서 던독의 세인트 말라키스를 꺾고 린스터 주니어 컵에서 우승했다.[1] 1935-36 시즌에는 린스터 시니어 리그 1부로 승격했고,[1] 다음 시즌인 1936-37 시즌에는 FAI 인터미디에이트 컵을 차지했다.[1]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인터미디에이트 컵 및 메트로폴리탄 컵에서 우승했다.[1] 1954년에는 린스터 시니어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샴록 로버스에게 2-1로 패배했다.[1] 멜 데인은 주니어 국제 경기에서 스코틀랜드를 상대로 경기를 한 첫번째 선수였다. 그 후 지미와 패디 클라크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주니어 국제 영예를 얻었으며, 이그나티우스 브래니건(네덜란드 상대)과 테피아 파크의 마크 데블린은 유스 국제 캡을 받았다.[1]

롱퍼드 타운은 1984년 아일랜드 리그에 선출되었다.[1] 리그 첫 시즌에 프리미어 디비전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1] 1998년 스티븐 케니 감독 부임 이후 팀 성적이 향상되었으며, 1999-2000 시즌 퍼스트 디비전 2위를 차지하며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1]

2000-01 시즌, 프리미어 디비전 중위권을 기록하고, FAI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보헤미안스에 패배했다.[1] 2001년, UEFA 컵에 처음으로 참가했으나 불가리아의 PFC 리텍스 로베치에 패배했다.[1] 2002-03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해 프리미어 디비전에 잔류했다.[1]

앨런 매튜스 감독 아래에서, 2003년 FAI 컵에서 우승하며 시니어 축구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6] 2004년에는 FAI 컵과 리그 컵에서 우승하며 컵 더블을 달성했다.[7] 2004년과 2005년 UEFA 컵에 진출했으나, 두 번 모두 예선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1]

2007 시즌 FAI 컵 결승에서 코크 시티에게 패하고, 클럽 라이선스 절차를 준수하지 않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2][1] 2014 시즌 퍼스트 디비전에서 우승하며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3] 2016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1]

2020년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시즌 COVID-19 대유행으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고,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2021년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그러나 2021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

2024년, 클럽은 창립 100주년을 맞이했다.

2. 1. 창단 초기 (1924-1984)

1924년, 템퍼런스 홀에서 열린 회의에서 롱퍼드 타운 FC가 창단되었다.[1] 클럽 색상은 보헤미안스의 '빨강과 검정'으로 결정되었다.[1] 초기 주요 멤버는 마이클 파렐, 패디 파렐, 마이클 헨리, 톰 말론, 조니 폴리, 윌리 자렛, 톰 켈리, 톰 콜버트, 짐 멀리건이었다.[1]

롱퍼드 타운은 1930-31 시즌, 롱퍼드 파크에서 던독의 세인트 말라키스를 꺾고 린스터 주니어 컵에서 우승했다.[1] 1935-36 시즌에는 린스터 시니어 리그 1부로 승격했고,[1] 다음 시즌인 1936-37 시즌에는 FAI 인터미디에이트 컵을 차지했다.[1]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인터미디에이트 컵 및 메트로폴리탄 컵에서 우승했다.[1] 1954년에는 린스터 시니어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샴록 로버스에게 2-1로 패배했다.[1] 멜 데인은 주니어 국제 경기에서 스코틀랜드를 상대로 경기를 한 첫번째 선수였다. 그 후 지미와 패디 클라크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주니어 국제 영예를 얻었으며, 이그나티우스 브래니건(네덜란드 상대)과 테피아 파크의 마크 데블린은 유스 국제 캡을 받았다.[1]

2. 2. 아일랜드 리그 참가 (1984-현재)

롱퍼드 타운은 1984년 아일랜드 리그에 선출되었다.[1] 리그 첫 시즌에 프리미어 디비전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1] 1998년 스티븐 케니 감독 부임 이후 팀 성적이 향상되었으며, 1999-2000 시즌 퍼스트 디비전 2위를 차지하며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1]

2000-01 시즌, 프리미어 디비전 중위권을 기록하고, FAI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보헤미안스에 패배했다.[1] 2001년, UEFA 컵에 처음으로 참가했으나 불가리아의 PFC 리텍스 로베치에 패배했다.[1] 2002-03 시즌,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해 프리미어 디비전에 잔류했다.[1]

앨런 매튜스 감독 아래에서, 2003년 FAI 컵에서 우승하며 시니어 축구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6] 2004년에는 FAI 컵과 리그 컵에서 우승하며 컵 더블을 달성했다.[7] 2004년과 2005년 UEFA 컵에 진출했으나, 두 번 모두 예선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1]

2007 시즌 FAI 컵 결승에서 코크 시티에게 패하고, 클럽 라이선스 절차를 준수하지 않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2][1] 2014 시즌 퍼스트 디비전에서 우승하며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3] 2016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1]

2020년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 시즌 COVID-19 대유행으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고, 리그 4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를 거쳐 2021년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그러나 2021 시즌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

2024년, 클럽은 창립 100주년을 맞이했다.

2. 3. 전성기 (2003-2007)

앨런 매튜스 감독[6][7] 아래에서 롱퍼드 타운 FC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2003년 FAI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04년에는 FAI컵과 리그 오브 아일랜드 컵에서 우승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6][7]

2. 4. 침체와 재도약 (2007-현재)

2007년, 롱퍼드 타운은 클럽 라이선스 문제로 승점 삭감 징계를 받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2014년, 토니 커즌스 감독 지휘 아래 퍼스트 디비전에서 우승하며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2015년에는 프리미어 디비전 6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그러나 2016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

2020년, 롱퍼드 타운은 퍼스트 디비전 4위를 기록하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프리미어 디비전으로 승격했다. 하지만 2021년, 프리미어 디비전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디비전으로 강등되었다.

2024년은 클럽 창립 100주년이 되는 해였다. 이를 기념하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전드와 롱퍼드 타운 레전드 간의 친선 경기가 열렸다.

3. 경기장

4. 선수단



롱퍼드 타운 FC의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포지션국가이름
1GK해리 할왁스
2DF셰인 엘워시 (주장)
3DF카일 오코너
4DF제이미 이건
5DF오신 핸드
6MF로스 페이
7MF루크 웨이드-슬레이터
8MF빅토르 세르데뉴크
9FW조던 아데예모
10DF에릭 요로
11MF아담 빅스테드
12MF대니 노리스
13GK잭 매카시
14FW엠마누엘 제임스
17DF조던 탤론
18MF칼 챔버스
19MF모하메드 부디아프
21MF바스티앵 에리/Bastien Héry프랑스어
22FW프랜 캠벨
23DF라이언 보일
25MF길레르미 레고 프리오스티
27DF딘 오셰이
28FW칼럼 보너
30FW딘 조지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기준)



롱퍼드 타운 FC의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국가이름
GK해리 할왁스
DF셰인 엘워시 (주장)
DF카일 오코너
DF제이미 이건
DF오신 핸드
MF로스 페이
MF루크 웨이드-슬레이터
MF빅토르 세르데뉴크
FW조던 아데예모
DF에릭 요로
MF아담 빅스테드
MF대니 노리스
GK잭 매카시
FW엠마누엘 제임스
DF조던 탤론
MF칼 챔버스
MF모하메드 부디아프
MF바스티앵 에리/Bastien Héry프랑스어
FW프랜 캠벨
DF라이언 보일
MF길레르미 레고 프리오스티
DF딘 오셰이
FW칼럼 보너
FW딘 조지
MF잭 브래디(2017 ~ 2018, 2023 ~ )



4. 2. 역대 주요 선수

5. 코칭 스태프 (2024년 기준)

wikitable

직책직원
감독웨인 그로브스
코치개럿 도드릴
코치로비 록
골키퍼 코치가브리엘 사바
물리 치료사시안 레논
장비 담당이안 마허
S&C 코치다니엘 몽크스


6. 역대 감독


  • 찰리 워커ga (1984–1985)
  • 빌리 백스터ga (1985–1987)
  • 팻 '잭' 해킷ga (1987–1990)
  • 론 랭포드ga (1990)
  • 팻 '잭' 해킷ga (1990–1991)
  • 콘 플래너건ga (1991–1992)
  • 더못 킬리 (1992–1993)
  • 리암 브라이언ga (1994)
  • 존 클리어리ga (1994–1996)
  • 마이클 오코너 (1996–1998)
  • 스티븐 케니 (1998–2001)
  • 마틴 로울러ga (2001–2002)
  • 앨런 매튜스 (2002–2007)
  • 아론 캘러한 (2007–2008)
  • 앨런 고프영어 (2008–2009)
  • 가레스 크로닌ga (2009)
  • 토니 커즌스 (2009–2016)
  • 앨런 매튜스 (2016–2017)
  • 닐 펜 (2017–2019)
  • 데어 도일 (2019–2021)
  • 게리 크로닌ga (2021–2022)
  • 스티븐 헨더슨 (2022–2024)

7. 기록

wikitext


  •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 2017년 8월 19일 애슬론 타운전 7-1 승리, 2014년 5월 30일 샴록 로버스 B전 6-0 승리[1]
  • 리그 최다 점수차 패배: 1989년 11월 12일 워터포드 유나이티드전 1-8 패배[1]
  • 한 시즌 최다 승점: 70점, 1999–2000 (36경기)[1]
  • 한 시즌 리그 최다 골 (선수): 24골, 데이비드 오설리반, 2013[1]
  • 통산 리그 최다 골: 69골, 데이비드 오설리반, 2013–2017[1]
  • 통산 리그 최다 출장: 250경기, 스티븐 오브라이언, 1998–2005[1]

7. 1. 최다/최고 기록

롱퍼드 타운 FC의 리그 최다 점수차 승리는 2017년 8월 19일 애슬론 타운전 7-1 승리와 2014년 5월 30일 샴록 로버스 B전 6-0 승리이다.[1] 리그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89년 11월 12일 워터포드 유나이티드전 1-8 패배이다.[1] 한 시즌 최다 승점은 1999-2000 시즌의 70점(36경기)이다.[1]

한 시즌 리그 최다 골(개인) 기록은 2013 시즌 데이비드 오설리반이 기록한 24골이다.[1] 통산 리그 최다 골은 데이비드 오설리반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기록한 69골이다.[1] 통산 리그 최다 출장은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스티븐 오브라이언이 기록한 250경기이다.[1]

7. 2. 역대 시즌 성적

시즌디비전FAI컵리그 컵
리그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1999-00퍼스트 디비전2위362178714070
2000-01프리미어 디비전8위3312615404742준우승
2001-02프리미어 디비전9위33101013415140
2002-03프리미어 디비전5위278118252935
2003프리미어 디비전4위36121212464448우승준우승
2004프리미어 디비전6위36111312323446우승우승
2005프리미어 디비전5위33129122932453라운드 탈락준결승 탈락
2006프리미어 디비전8위30810122327343라운드 탈락2라운드 탈락
2007프리미어 디비전12위3398163449291준우승1라운드 탈락
2008퍼스트 디비전8위3698193655353라운드 탈락1라운드 탈락
2009퍼스트 디비전9위3384214662288강 탈락1라운드 탈락
2010퍼스트 디비전9위3398163953354라운드 탈락
2011퍼스트 디비전6위30124143841404라운드 탈락1라운드 탈락
2012퍼스트 디비전3위2815584233502라운드 탈락2라운드 탈락
2013퍼스트 디비전2위2815585534503라운드 탈락2라운드 탈락
2014퍼스트 디비전1위2818645619603라운드 탈락8강 탈락
2015프리미어 디비전6위331091441539준결승 탈락라운드 탈락
2016프리미어 디비전12위3328232571143라운드 탈락1라운드 탈락
2017퍼스트 디비전5위28108103426388강 탈락8강 탈락
2018퍼스트 디비전5위2713685436458강 탈락8강 탈락
2019퍼스트 디비전3위2716384123512라운드 탈락2라운드 탈락
2020퍼스트 디비전4위189272623291라운드 탈락중단
2021프리미어 디비전10위3629252271152라운드 탈락
2022퍼스트 디비전4위32141084941521라운드 탈락
2023퍼스트 디비전

1 승점 6점 감점.

8. 우승 기록

롱퍼드 타운 FC는 FAI 컵에서 2003년과 2004년에 우승하여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리그 오브 아일랜드 컵에서는 2004년에 우승하여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리그 오브 아일랜드 퍼스트 디비전에서는 2014년에 우승하여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FAI 인터미디어트 컵에서 1936-37, 1954-55, 1959-60, 1961-62, 1968-69년, 총 5회 우승했다. 코넛 주니어 컵에서는 1931-32년에 우승하여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고, 엔다 맥길 컵에서는 2002–03년에 우승하여 1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9. 유럽 대항전 기록

롱퍼드 타운 FC는 UEFA컵에 총 6번 출전하여 1승 1무 4패, 6득점 12실점을 기록했다.[4]

대회P득점실점
UEFA컵6114612
합계6114612



2001-02 시즌 UEFA컵 1차 예선에서 불가리아리텍스 로베치를 상대로 홈에서 1-1 무승부를 거뒀으나, 원정에서 0-2로 패배하며 합계 1-3으로 탈락했다.[4] 2004-05 시즌 UEFA컵 1차 예선에서는 리히텐슈타인파두츠에게 홈에서 2-3, 원정에서 0-1로 패배하며 합계 2-4로 탈락했다.[4] 2005-06 시즌 UEFA컵 1차 예선에서는 웨일스의 카마던 타운을 홈에서 2-0으로 꺾었으나, 원정에서 1-5로 패배하며 합계 3-5로 탈락했다.[4]

시즌대회라운드상대 팀원정합계
2001–02UEFA컵1차 예선 리텍스 로베치1–10–21–3
2004–05UEFA컵1차 예선 파두츠2–30–12–4
2005–06UEFA컵1차 예선 카마던 타운2–01–53–5


10. 클럽 문화

10. 1. 서포터

'Section O'는 2000년대 초반 롱퍼드 타운 FC의 울트라스 그룹이었다.

10. 2. 유니폼

10. 3. 라이벌

참조

[1] 웹사이트 Longford Town Club Information http://www.airtricit[...] 2009-02-09
[2] Webarchive Longford deducted six points for licensing indiscretion http://www.eleven-a-[...] 2016-08-04
[3] 웹사이트 Longford Town claim First Division crown and promotion http://www.rte.ie/sp[...] Raidió Teilifís Éireann 2014-10-08
[4] 웹사이트 Longford – http://www.uefa.com/[...] UEFA
[5] 웹사이트 History http://ltfc.ie/club-[...] Longford Town FC
[6] 웹사이트 Alan Mathews back for a second stint as manager of Longford Town http://www.longfordl[...] Longford Leader 2016-08-20
[7] 웹사이트 Club Honours http://ltfc.ie/club-[...] Longford Town F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